이번에 우리나라로 다가오는 태풍은 마이삭(Maysak) 입니다.
지난 번 태풍 바비(Bavi)가 역대급 태풍이라고 다양한 뉴스가 나왔었지요. 제주의 남쪽 지역과 서해 해상은 바람으로 피해가 많았던데, 중부 지역은 생각보다 역대급의 큰 피해는 없었던 것 같습니다.
지난번에 언급 드렸듯이 9월 태풍이 많이 오는 추세입니다. 앞으로도 몇개가 더 올지 모르지만, 이번에 오는 태풍 마이삭은 어떨지 태풍 정보를 알아보겠습니다.
태풍의 이름
정보를 알아볼 때 가장 먼저 궁금한 것은 바로 태풍의 이름인데요. 이번 태풍 '마이삭'은 캄보디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나무의 이름이라고 합니다.
태풍의 이름은 아시아태풍위원회의 회원국이 제출한 국가별 10개의 이름을 번갈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4개국에서 10개씩 제출한 이름을 공식 명칭으로 부여하는데 140여개가 되다 보니 모두 사용되는데 약 4~5년이 소요된다고 하네요. 들어 보셨겠지만 큰 피해를 일으키는 태풍의 이름은 유사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기를 바라는 의미로 폐기시킨다고 합니다. 한국이 제출해 사용했던 '나비'라는 이름이 2005년 일본에 큰 피해를 일으켜 폐기된 예입니다.
일본 기상청 홈페이지에서 회원국들이 제출한 태풍의 이름, 순서, 의미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태풍의 발생과 진로
우리나라는 연간 평균 5~7개의 태풍을 만나게 됩니다. 빠르면 6월부터 태풍이 발생해 우리나라로 이동해 오고 최근에는 9월 이후에도 많은 태풍의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과거 자료를 보니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태풍은 2017년에 3개, 2018년에 5개, 2019년에 7개로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네요. 이중 9월에 우리에게 영향을 주는 태풍이 절반 정도 되니 9월에 태풍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이번 태풍의 진로는 물론 우리나라 기상청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상청은 보통 하루 2~3번 태풍 특보를 알려주고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태풍의 규모, 예상 진로 등을 상세히 알려 주어 우리가 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번 태풍 '마이삭(Maysak)'은 먼 필리핀 동쪽 해상에서 발생해 우리나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지난번 ‘바비(Bavi)’와 같이 대만 해상에서 발생하는 건 드문 경우고 보통 필리핀 해상이나 남태평양에서 발생해 북쪽으로 이동해 옵니다.
아래 31일 저녁 10시 발표된 진로를 보면 수요일 저녁 9시 경 제주도 동쪽 해상에 도착하게 되고 다음날 새벽 부산 인근 지역으로 상륙 하게 되는 모습입니다.
결국 태풍 '마이삭(Maysak)'에 대한 기상청의 예보가 실제 진로에 보다 가까웠던 것으로 나타나 기상청의 신뢰도가 높아질 것 같습니다. 이번 태풍은 지난번 '바비(Bavi)' 보다 더 큰 피해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태풍의 규모도 '바비(Bavi)'보다 더 강했고 역대급 바람이 내륙지방에 피해를 주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태풍의 발생과 진로
저는 태풍뿐만 아니라 지진 등 전 세계의 재난정보를 UN과 EU가 함께 운영하는 GDACS(Global Disaster and Coordination System, https://www.gdacs.org/)을 통해 받아보고 있습니다. 전 세계의 재난정보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으며 예측되는 리스크와 재난 규모까지 알 수 있어 매우 유용합니다. 이메일 서비스도 해주고 있어 빠르게 재난 정보를 습득하는데 더욱 유용합니다.
GDACS에서는 태풍 ‘마이삭(Maysak)이 '바비(Bavi)'보다 더 리스크가 큰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해당 재난에 노출되는 사람의 수가 많기 때문입니다. '바비(Bavi)'는 약 7백만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게 되는 수준이였는데, 이번에 오고 있는 '마이삭(Maysak)'은 약 53백만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줄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GDACS 의 진로 예상은 지난번 바비와 같이 우리 기상청과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 진로가 기상청 예보보다 서쪽으로 그리고 보다 한반도 중앙으로 상륙하는 모습이네요. GDACS가 한반도 정면으로 영향을 줄 것 으로 예상하고 있는 것으로 알 수 있겠습니다. 그래서 더욱 큰 피해를 예상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번 태풍은 확실히 '바비(Bavi)' 보다는 강하고, 진로도 좋지 않았습니다.
물론 예보는 시시각각 기상정보에 따라 변하며 계속 발표되면서 변경됩니다. 예측이라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지만 이렇게 중요한 정보 소스가 몇개 있으면 같은 이벤트라도 필요한 변수를 생각해 보며 대응할 수 있게 됩니다.
앞서 확인해 본 것 처럼 9월에 태풍이 몇개 더 발생해 우리나라로 올 것 같습니다.
예보는 조금 차이가 있어도 괜찮습니다. 태풍의 피해가 크지 않아야 하는게 모두가 바라는 점입니다. 코로나도 계속되어 요즘 모두가 힘겨운 하루 하루인데 태풍 피해까지 계속 겹치고 있으니 걱정도 하루 하루 더해 가네요.
모두 안전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Dobby's story > 지구에 대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후위기가 불러올 부동산 가치의 재평가 (0) | 2020.10.04 |
---|---|
기후위기, 지구 온도 1.5도씨 제한을 위한 도전 (0) | 2020.09.20 |
비닐봉지(Plastic Bag), '친환경'에서 '오염의 주범'으로 변모한 안타까운 역사 (0) | 2020.09.09 |
태풍 하이선(Haishen) 정보(이름, 발생, 예상진로) (0) | 2020.09.02 |
태풍 바비(Bavi) 정보(이름, 발생, 예상 진로) (0) | 2020.08.26 |